“분명 연봉은 꽤 높은 것 같은데, 왜 내 월급은 이렇게 적을까?” 이는 회사에서 지급하는 금액에서 4대 보험료와 세금이 차감된 후 실질적으로 지급되는 급여, 즉 실수령액 때문입니다. 오늘은 실수령액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실급여 계산기, 연봉별 실수령액에 대해 정리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실급여 계산기
실급여란 말 그대로 근로자가 실제로 손에 쥐는 급여를 말합니다. 아래의 계산기를 통해 본인의 실급여를 확인 해 보세요.
실급여 계산기
항목별 공제액:
국민연금: 0 원
건강보험: 0 원
장기요양보험: 0 원
고용보험: 0 원
소득세: 0 원
지방소득세: 0 원
총 공제액: 0 원
실급여: 0 원
위 계산기를 활용하여 공제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4대 보험료:
- 국민연금: 연봉의 4.5%
- 건강보험: 연봉의 3.545%
-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료의 12.95%
- 고용보험: 연봉의 0.9%
- 세금:
- 소득세: 과세표준에 따라 차등 부과
- 지방소득세: 소득세의 10%
연봉별 실수령액
다음으로는 연봉별 실수령액에 대해 정리한 표를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연봉이 높아질 수록 월 공제액도 증가하게 되며 특히 연봉 7,100만원 이상인 경우 국민연금은 최대 금액인 265,000원으로 고정되게 됩니다.
위와 같이 1억원의 연봉을 받더라도 세후 월급은 650만원 가량밖에 안된다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프리랜서와 근로자의 차이
프리랜서의 경우, 지역가입자로 분류되어 4대 보험료 전액(9%)을 부담해야 합니다. 따라서 동일한 연봉을 받더라도 근로자보다 실수령액이 훨씬 적어질 수 있습니다. 프리랜서라면 이러한 점을 미리 고려해 월 소득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만약 더 자세한 실수령액 계산기와 정보가 필요하다면 아래의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