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6년 복지 정책을 알아보려면 가장 먼저 기준중위소득을 확인해야 합니다.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 등 주요 복지사업의 수급 자격은 모두 이 수치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6년 기준중위소득 계산기와 급여별 수급 기준, 그리고 가구별 소득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계산기까지 정리해 드릴게요.
2026년 기준중위소득
기준중위소득은 우리나라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.
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하며, 복지 수급자 선정의 핵심 지표로 쓰이죠.
2026년 고시된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1인 가구 : 256만 원
- 2인 가구 : 419만 원
- 3인 가구 : 535만 원
- 4인 가구 : 649만 원
- 5인 가구 : 755만 원
- 6인 가구 : 855만 원
특히 3인 가구 535만 원과 4인 가구 649만 원이 가장 많이 언급됩니다.
급여별 수급기준
기준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을 적용해 각 급여 대상이 정해집니다.
- 생계급여 (32%) : 최저생활 보장 (예: 3인 가구 174만 원 이하)
- 주거급여 (48%) : 임대료, 수선비 지원 (3인 가구 257만 원 이하)
- 의료급여 (40%) : 병원 진료비 대폭 경감 (3인 가구 214만 원 이하)
- 교육급여 (50%) : 학용품, 수업료, 교과서 전액 지원 (3인 가구 267만 원 이하)
기준중위소득 계산기
민생회복지원금 2차 자격 계산기
2026년 기준중위소득을 바탕으로 소득 210%·재산세 과세표준 12억·연 금융소득 2,000만 원 요건 충족 여부를 한 번에 판정합니다.
※ 2026년 기준중위소득(월) 고시치
단위: 원 / 예금이자·배당 등은 ‘금융소득’에 따로 입력
단위: 원 / 과세표준 ≒ 공시가격 × 공정시장가액비율(주택 60%), 다주택은 합산
고지서 ‘과세표준’ 항목 또는 위택스·홈택스에서 조회
단위: 원 / 기준: 2,000만 원 초과 시 제외 가능
예상 자격: –
소득 210% 기준–
내 월소득–
재산 과표 한도1,200,000,000 원
내 과세표준–
금융소득 한도20,000,000 원
내 금융소득–
※ 참고 판정입니다. 실제 자격은 담당기관의 소득인정액 산정(재산·부양의무 등) 결과에 따릅니다.
민생회복지원금 2차 중위소득
1인 가구는 월 502만원 이하
2인 가구는 월 825만원 이하
3인 가구는 월 1,055만원 이하
4인 가구는 월 1,280만원 이하
이 기준 안쪽이라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