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월은 1년 중 가장 많은 국민들이 재산세를 납부하는 시기입니다. 요즘은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이자 할부나 포인트 적립, 캐시백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카드 납부를 선호하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. 오늘은 그래서 재산세 카드 혜택 납부 방법, 할부 무이자 가능한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
재산세 카드 납부
재산세는 아래 채널을 통해 카드 납부가 가능합니다.
- 위택스(WeTax)
- 인터넷지로
- 지방자치단체 세금납부 사이트 (서울은 ETAX, 부산은 wetax.busan.go.kr 등)
- 은행 ATM/CD기 또는 창구
- 각 카드사 앱 또는 고객센터
납부 시 신용카드, 체크카드 모두 사용 가능하며 일부 카드사는 자동납부 서비스도 지원합니다.
재산세 카드 혜택
2025년 7월 기준으로 각 카드사에서는 재산세 납부 시 다음과 같은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 중입니다.
카드사 | 무이자 할부 기간 | 비고 |
---|---|---|
삼성카드 | 최대 12개월 | 6개월 초과 시 일부 수수료 발생 가능 |
신한카드 | 최대 6개월 | 일부 카드는 3개월까지만 가능 |
KB국민카드 | 최대 3개월 | 이벤트 신청 시 적용 |
현대카드 | 최대 4개월 | M포인트로 세금 결제 가능 |
롯데카드 | 최대 6개월 | 일부 금액 캐시백 이벤트 |
NH농협카드 | 2~4개월 무이자 | 5개월 이상은 부분 무이자 |
하나카드 | 최대 4개월 | 일부 이벤트 시 가능 |
BC카드 | 최대 3~4개월 | 페이북 태그 이용 시 추가 혜택 |
주의사항은 각 카드사별로 이벤트 기간, 카드 종류, 조건이 다르므로 본인 카드사의 공지사항이나 앱 이벤트 페이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.
재산세 카드 납부 혜택
재산세 카드 납부 시 무이자 할부 외에도 아래와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포인트 적립 : 1,000원당 1~2포인트 적립 (삼성, 현대, 신한 등)
- M포인트, 포인트리 차감 결제 : 현대카드, 국민카드 등 일부 카드 사용 시
- 캐시백 이벤트 : 일정 금액 이상 납부 시 캐시백 지급 (예: 100만 원 이상 시 1만 원 캐시백)
- 간편결제 혜택 : 카카오페이, 네이버페이 등 간편결제 수단 이용 시 추가 할인/포인트 지급
재산세 카드 납부 주의사항
소득공제 불가 : 재산세는 신용카드로 납부해도 소득공제 대상이 아닙니다.
납부 수수료 : 카드납부 시 대부분 수수료는 없지만, ATM 기기 이용 시 일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무이자 제외 카드 : 법인카드, 가족카드, 선불카드 등은 무이자 할부 대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.
중복 혜택 제한 : 포인트 적립, 캐시백, 무이자 할부는 중복 적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마무리
신용카드로 재산세를 납부하면 편리함을 넘어서 다양한 무이자 할부, 포인트 적립, 캐시백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 단, 카드사별 이벤트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납부 전 사전 신청 여부도 체크해야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겠죠? 이 점 유의하시고 참고하세요! 감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