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1회 백상예술대상 수상작 수상정보 인기상 누구?

2025년 5월 5일, 서울 코엑스 D홀에서 개최된 제61회 백상예술대상은 OTT 강세와 방송 콘텐츠의 대격돌로 그 어느 해보다도 치열한 수상 경쟁을 보여주었는데요. 이번 포스팅에서는 61회 백상예술대상 수상작 수상정보 및 인기상은 누가 탔는지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61회 백상예술대상 수상작

61회 백상예술대상 수상작

대상
넷플릭스 예능 《흑백요리사》
→ OTT 콘텐츠가 방송 부문 대상을 수상한 것은 상징적인 사건이었습니다.

드라마 작품상
《폭싹 속았수다》 (넷플릭스)
→ ‘관식이 병’, ‘학씨’, ‘오애순’ 등 밈과 유행어를 탄생시킨 국민 드라마.

최우수 연기상 (남)
주지훈 – 《중증외상센터》
→ 의학드라마의 몰입감을 높인 진중한 연기로 호평.

최우수 연기상 (여)
김태리 – 《정년이》
→ 판소리와 연기를 모두 소화하며 또 한 번 백상 트로피 수집!

조연상 (남)
최대훈 – 《폭싹 속았수다》
→ ‘학씨’ 캐릭터로 사실상 주연급 활약. 유퀴즈 출연까지!

조연상 (여)
염혜란 – 《폭싹 속았수다》
→ ‘오애순 엄마’로 분해 1화부터 시청자 눈물샘 자극.

신인 연기상 (남)
추영우 – 《옥씨부인전》
→ 1인 2역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수상.

신인 연기상 (여)
채원빈 – 《이토록 친밀한 배신자》
→ 신예답지 않은 안정감으로 극을 이끈 활약.

예능 작품상
《풍향고》 (유튜브 채널 뜬뜬)
→ 웹콘텐츠도 백상에서 인정받는 시대.

극본상
임상춘 – 《폭싹 속았수다》
→ 백상 단골 작가, 임상춘의 감성이 이번에도 통했다.

연출상
송연화 PD – 《이토록 친밀한 배신자》
→ 여성 중심 스릴러의 연출력 인정받아 수상.

예능상 (남)
신동엽 – 《SNL 코리아》 외
→ 11번째 백상 MC이자 유재석과의 경쟁 끝에 수상.

예능상 (여)
이수지 – 《SNL 코리아》
→ 밈 제조기로 예능계를 사로잡은 활약.

예술상
장영규 (음악감독) – 《정년이》
→ 음악이 또 하나의 연기로 작용했던 명장면들.

61회 백상예술대상 수상정보

대상
홍경표 촬영감독 – 《하얼빈》
→ 백상 역사상 최초로 촬영감독 대상 수상! 영화계에 상징적인 순간.

작품상
《하얼빈》 – 우민호 감독
→ 영상미와 무게감 있는 서사로 호평. 넷플릭스에서도 스트리밍 중.

최우수 연기상 (남)
조정석 – 《파일럿》
→ 1인 2역을 넘는 완성도 높은 연기.

최우수 연기상 (여)
전도연 – 《리볼버》
→ 다섯 번째 백상 수상. 믿고 보는 연기의 대명사.

조연상 (남)
유재명 – 《행복의 나라》
→ 캐릭터에 몰입한 연기력으로 관객 감탄 유발.

조연상 (여)
수현 – 《보통의 가족》
→ 중심을 잡아준 명품 연기로 수상.

신인 연기상 (남)
정성일 – 《전,란》
→ 강렬한 빌런 이미지로 강한 인상 남김.

신인 연기상 (여)
노윤서 – 《청설》
→ 대사 없이 감정만으로 스크린을 장악한 연기력.

감독상
오승욱 – 《리볼버》
→ 묵직한 느와르 장르의 대가, 수상은 예정된 결과.

각본상
신철·박찬욱 – 《전,란》
→ 웰메이드 각본의 교과서적인 작품.

예술상
조영욱 – 《전,란》 (음악)
→ 박찬욱 감독의 영화 음악 하면 이분!

신인 감독상
오정민 – 《장손》
→ 독립영화의 약진을 이끈 주역

61회 백상예술대상 인기상

61회 백상예술대상 인기상은 사전 투표를 통해 선정되었으며, 팬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은 두 배우가 선정되었습니다. 바로 선재 업고 튀어의 변우석씨와 김혜윤씨인데요. 드라마 인기만큼이나 압도적인 투표율을 보여줬다고 합니다.

마무리

올해 백상은 단순한 시상식을 넘어, 플랫폼의 경계가 무너진 대중문화의 현주소를 잘 보여주는 무대였습니다. 폭싹 속았수다와 하얼빈의 약진, 아이돌 출신과 무명 배우의 조화, OTT와 유튜브 콘텐츠의 약진은 앞으로의 트렌드를 예고합니다. 61회 백상예술대상 수상작 정보가 궁금했다면, 이 포스팅 하나로 끝내세요!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
Leave a Comment